목차
2025년 1월 10일부터 대한민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모바일 외국인 등록증 이 도입됩니다. 기존의 실물 신분증 없이도 스마트폰 하나만으로 신원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입니다.
그렇다면 모바일 외국인 등록증 발급 대상, 발급 방법, 사용처, 장점 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모바일 외국인 등록증은 외국인이 대한민국에서 신원을 증명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디지털 형태의 신분증입니다. 온·오프라인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, 기존 외국인 등록증, 영주증, 거소신고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습니다.
모바일 외국인 등록증은 두 가지 방법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▼갤럭시 사용자▼
▼ 갤럭시 사용자 , 안드로이드 사용자▼
▼ 애플 사용자 ▼
💡 주의 사항
💡 장점
구분 | 모바일 외국인 등록증 | 실물 외국인 등록증 |
발급 방식 | QR 코드 촬영 또는 IC 칩 내장 | 기존 방식 유지 |
발급처 | 행정안전부 모바일 신분증 앱 | 출입국·외국인 관서 |
재발급 | QR 코드 방식: 관서 방문 필요 | 관서 방문 필수 |
IC 칩 방식: 방문 없이 가능 | ||
사용처 | 관공서, 편의점, 병원, 금융기관 등 | 관공서, 편의점, 병원 등 |
(비대면 서비스 확대 예정) | ||
개인 정보 보호 | 필요한 정보만 선택 제공 (예: 생년월일) | 전체 정보 노출 |
보안 | 블록체인·암호화 기술 적용 | 일반 보안 방식 |
분실 시 | 스마트폰 분실 신고 시 자동 잠금 | 재발급 필요 |
발급 비용이 2025년 1월 1일부터 인상되었습니다.
구분 | 2024년까지 | 2025년 이후 |
외국인 등록증 발급 수수료 | 30,000원 | 35,000원 |
💡 기존에 발급받은 외국인 등록증은 유효 기간이 만료되지 않는 한 계속 사용 가능합니다.
단, 신규 발급 또는 재발급을 희망하는 경우 인상된 수수료(35,000원)을 납부해야 합니다.
마무리
모바일 외국인 등록증은 보안성과 편의성이 강화된 디지털 신분증으로, 외국인들이 실물 신분증 없이도 스마트폰을 통해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